반응형
불안, 우울, 무기력… 이유를 알 수 없는 감정들이 일상을 무겁게 만들 때가 있습니다.
기후 우울증뿐 아니라, 관계 스트레스, 불면, 일상 속 피로 등 모든 정서적 어려움은 상담을 통해 돌볼 수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국가와 지자체가 지원하는 정신건강 상담 서비스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📚 관련 글 보기:
👉 1편 - 이상하게 무기력하다면, 기후 때문일 수 있어요
👉 2편 - 기후 우울증 대응 전략: 함께 만드는 회복력
-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
-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
- 정신건강복지센터
- 서울시심리지원센터
- 상담 이용 시 유의사항
- 신청 방법 요약 템플릿
1.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
- 지원 내용: 1회당 최대 8만 원, 최대 8회까지 심리상담 비용 지원
- 대상: 나이, 소득 무관. 우울·불안 등 정서적 어려움이 있는 국민 누구나
- 이용 방법: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 또는 블루터치 플랫폼에서 신청 가능
2.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
- 전화번호: 1577-0199 또는 국번 없이 129
- 서비스 내용: 24시간 전문요원과 정신건강 상담 가능, 자살 위기 상담 포함
- 특징: 익명 가능, 위기 상황 즉시 대응 가능
3. 정신건강복지센터
- 역할: 정신질환자의 등록관리, 사례관리, 주간재활, 심리상담 등
- 이용 방법: 시·군·구별 센터에 전화 또는 방문 문의
- 위치 찾기: 블루터치 시설 검색
4. 서울시심리지원센터
- 대상: 만 19세 이상 서울 시민
- 상담 내용: 스트레스, 인간관계, 불안, 기후 우울증 등 가벼운 정서 문제 전반
- 비용: 무료
- 신청: 공식 신청 페이지에서 온라인 접수
5. 상담 이용 시 유의사항
- 심리상담은 진단이나 약물치료가 아닙니다: 정신의학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 병원 연계 가능
- 모든 정보는 비공개로 관리되며, 개인정보 보호가 철저하게 이루어집니다
- 1회 상담만으로도 도움이 될 수 있으며, 지속적인 이용도 권장됩니다
6. 신청 요약 템플릿
1. 블루터치 사이트 접속 → 지역센터 찾기 → 전화 또는 온라인 신청
2. 전국민 마음투자 사업 이용 시 → 상담기관 선택 후 본인부담 없이 진행 가능
3. 서울시민의 경우 → 서울시심리지원센터 직접 신청
4. 긴급 상담 필요 시 → 1577-0199 또는 국번 없이 129 전화
정리하며
마음이 아플 땐 참는 게 능사가 아닙니다. 국가와 지자체는 이미 다양한 심리 지원 제도를 마련하고 있고, 그중 상당수는 무료 또는 비용 지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.
기후 우울증도, 직장 스트레스도, 관계 고민도 괜찮습니다. 상담은 문제를 드러내는 게 아니라, 회복을 위한 시작입니다.
📖 2편 - 기후 우울증 대응 전략: 함께 만드는 회복력도 함께 읽어보세요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