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생존형 자기계발

750만 원 벌고도 저축 50만 원? 맞벌이 부부의 지출 구조를 까봤습니다

by 골드니팁 2025. 4. 11.
반응형

 

맞벌이 부부의 고정된 고민

A씨 부부는 월 750만 원의 고정 수입을 올리는 전형적인 맞벌이 가정입니다. 하지만 정작 저축은 월 50만 원도 채 되지 않으며, 갑작스러운 지출이 생기면 불안감에 휩싸이곤 합니다. 수입이 부족해서일까요? 아니면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 걸까요? 열심히 벌어도 손에 남는 게 없는 현실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합니다.

2025년 기준 재정관리 트렌드

최근 재테크 커뮤니티 ‘월급쟁이부자들’에서는 **소득보다 구조**가 핵심이라는 메시지를 강조하고 있습니다. 고정비/변동비의 구분, 절세 전략(IRP, ISA 활용), 자녀 관련 복지 혜택 적극 활용이 트렌드로 자리 잡았습니다. 수입이 많아도 지출을 통제하지 않으면 오히려 더 큰 재정난에 빠질 수 있습니다.

A부부의 수입·지출 구조 분석

아래는 A씨 부부의 실제 가계 구조를 재현한 표입니다. 월 수입 대비 지출 구조를 상세히 분석해봤습니다.

A부부의 자산 현황 (단위 : 만원)
월 총수입 (월 750만 원)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남편 400만, 아내 350만 (인센티브, 상여 제외)
연 비정기 수입 (인센티브, 상여금, 복지혜택)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남편 350만, 아내 100만
총 지출 고정비 (377만 3천원, 50%)
- 월세 170만, 통신비 11만 5천, 보험료 45만, 구독료 3만 8천,
운동(헬스, 요가) 17만, 학원비 30만, 어린이집 30만(사립),
교통비 10만, 양가 부모님 용돈 총 60만 원 (각 30만 원)
변동비 (297만 원, 40%)
- 공과금 및 관리비 32만 원, 부부 용돈 총 70만 원 (각 35만 원),
식비 및 생활비(경조사비 포함) 180만 원, 유류비 15만 원
저축 (76만 원, 10%)
- 청약 50만 원 (공공분양 목표, 부부 각 25만 원), 여유금 26만 원

재정 점검 실전 팁 3가지

1. 과거 지출 복기하기

매달 어디에 돈을 썼는지 추적하고 불필요한 항목을 체크하세요. 경조사비, 외식비, 비정기적인 지출은 특히 누수 지점입니다.

2. IRP로 세금 줄이기

개인형 퇴직연금(IRP)을 활용하면 연 최대 115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 맞벌이 부부라면 각각 가입하여 세금 혜택을 극대화하세요.

3. 투자 전 공부는 필수

투자 수익보다 중요한 건 손실을 피하는 것. 무작정 투자하지 말고, ‘선 학습, 후 투자’ 원칙을 지켜야 합니다.

핵심 요약

핵심 요약

  • 맞벌이 부부도 재정 구조가 허술하면 저축이 어렵다
  • 고정비/변동비 분석으로 소비 패턴을 파악해야 한다
  • IRP, 교육비 절감, 저축 전략은 실질적인 효과가 있다
  • 투자는 학습이 선행되어야 하며, 단기 수익에 집착하지 말 것

 

당신의 가계도 점검하고 있나요?

“더 벌면 해결될 거야”라는 생각은 이제 위험합니다. 수입보다 더 중요한 건 구조이고, 흐름을 이해하는 것입니다. 지금 당신의 가계도 구조적으로 점검해보세요. 어떤 누수가 있는지 스스로 확인하는 것부터 시작입니다. 당신의 월급, 어디로 사라지고 있나요?

 

 

반응형